OneDay Network

DNS(Domain Name Service)란? - 도메인 이름(www.abc.com)을 네트워크 주소(192.168.1.1)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 - UDP프로토콜을 사용하며, 53번 포트를 이용한다. - DNS Quary와 Response를 이용 DNS 구조 루트 DNS : 400개 이상의 루트 DNS가 존재, 대부분 북미지역에 위치, 13개의 다른 기관에서 관리되고 있음 TLD DNS : Top Level Domain의 약자로, 최상위 도메인(com, kr 등)을 말함. 책임 DNS : 인터넷에서 접근하기 쉬운 호스트를 가진 기관은 호스트 네임을 IP주소로 연결 시키는 역할을 함. 로컬 DNS : DNS 서버 계층구조에는 속하지 않음,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관리하는 DNS..
DSL(Digital Subscriber Line) 전화망을 통해 신호 전달 스플리터를 통해 가정에 들어오는 데이터와 전화 신호를 분리 HFC(Hybrid Fiber Coax)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신호 전달 CMTS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 옥내 주변까지 광케이블로 신호 전달, 각 옥내에는 동축 케이블로 신호 전달 FTTH(Fiber To The Home)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통해 신호 전달 가정에 가까운 곳까지 하나의 광섬유로 와서 광스플리터를 이용하여 고객별 광섬유로 분리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가격이 가장 저렴하고 가장 널리 이용되는 케이블 UTP케이블로 LAN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케이블 카테고리를 통해 구분(숫자가 높을수록 높은 대역폭 지원) 동축 케이블 2개의 구..
1.1 DDOS 공격 의미 DDOS공격은 DOS공격이 발전한 형태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약자이다. 공격자가 PC를 감염 시켜 Bot들을 생성하여 공격자 한 명이 공격을 실행하는 것이 아닌 공격자가 감염시킨 Bot들을 이용하여 분산적으로 배치하여 동시에 공격한다. 따라서 DDOS Attack은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형태의 공격을 말한다 1.2 DDOS 공격과 DOS 공격의 차이점 DDOS 공격과 DOS 공격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공격자의 숫자이다. DOS 공격은 단일 사용자 즉, 공격자 자신이 직접 공격하기 때문에 쉽게 차단되기 마련이다. 반면 DDOS 공격은 여러 사용자가 공격자가 되므로 공격을 차단하기 어렵고 DOS 공격보다 훨씬 더 큰 피해를 가져온다..